커뮤니티

한국이 어느 나라보다 안전하다는 통념은 더 이상 현실과 맞지 않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내놓은 ’치안ㆍ복지ㆍ경제성장’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살인 강도 절도 같은 전통적 범죄 발생 건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크게 높다.

살인사건 발생 건수 통계는 충격적이다. 유엔개발계획(UNDP) 집계 결과 2000년대 초반 우리나라 인구 10만명당 살인 범죄는 2.2건으로 OECD 29개국 중 9번째로 많았다. 2010년 교통범죄를 제외한 범죄 건수는 총 133만건에 이르렀다.

각종 범죄는 지난 30년 동안 연평균 3.4% 증가했다. 2000년대 들어 범죄 증가율은 2%대로 낮아졌지만 살인 강도 강간 방화 같은 흉악범죄는 90년대까지만 해도 한 해 1만건 안팎이던 것이 최근에는 3만건으로 급증했다. 유엔마약범죄사무국(UNODC)에 따르면 2009년 한국 인구 10만명당 강간 범죄(13.5건)는 일본(1.1건)의 12배를 넘는다. 한국 사회는 1인당 소득 수준으로 보면 선진국 문턱에 이르렀지만 흉악범들은 더 무섭게 날뛰고 있는 것이다.

형사정책연구원은 각종 범죄에 따른 사회적 비용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16.2%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작년 GDP(1290조원)에 대비하면 200조원이 넘는다.

범죄를 예방해 국민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것은 국가의 가장 기본적인 책무다. 박근혜 대통령은 "국민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은 국민 행복의 필수 요건"이라며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정부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행정안전부를 안전행정부로 개편하고 4대 악(성폭력 가정폭력 학교폭력 불량식품) 척결을 내세운 것은 그 첫걸음이다.

하지만 안전한 사회를 만들려면 훨씬 더 강력하고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춰 범죄와 전쟁을 벌여야 한다. 흉악범에 대한 형량을 늘리고 일시적인 범죄 소탕작전을 벌이는 데 그칠 게 아니라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적 측면에서 범죄 유발 요인들을 줄여야 한다. 특히 경제적 양극화와 빈곤에 따른 범죄, 단순 저임 노동 수요를 채우기 위한 외국인 유입에 따른 다문화 가정 범죄가 급증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대응이 시급하다.

기사 원문 -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3&no=205348

 

내가 말했음, 증시 떨어지고 환율 오를꺼라고. ㅇㅇㅇ

http://blog.naver.com/hamchoromhi/70163019975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글쓴이
공지 자유게시판 2014.09.21 54406 [레벨:409]22대웹관리자_노천명
공지 중국 생활 안전 수칙 [4] 2013.03.16 76906 [레벨:352]20대회장_성유리
126 제목없음 [1] 2014.03.01 2582 [레벨:390]24대회장_이준헌
125 로그인 두번 해야 되는 문제에 대해서 [6] 2014.07.01 2584 [레벨:409]22대웹관리자_노천명
124 D-1] 놓치면 안 될 2023 최신 해외입시 트렌드 설명회 2023.08.03 2585 [레벨:259]공맵
123 2200원짜리 피자.............. [2] file 2012.11.12 2588 [레벨:492]이상효
122 안녕하세요 12학번 송성진입니다. [3] 2014.04.11 2595 [레벨:347]송성진
121 오랜만에 도타를 하였다... [5] file 2012.10.26 2605 [레벨:409]22대웹관리자_노천명
120 뭐 지금 한국발 이슈 때문에 사이트가 흥한데 [3] 2013.12.18 2607 [레벨:379]허진규1마력
119 삼성전자 글로벌 스토리텔러 8기 모집!! file 2015.07.16 2610 [레벨:351]22대회장_노영광
118 [무료상담 이벤트 진행중] 2022년 봄 컨설팅펌 입사대비 Class 개강 안내 (4월 2일(토) 개강 예정) 2022.03.15 2611 [레벨:51]이커리어
117 [1마력의 1일 1사설] - [서울신문] "애국심에 기대는 日 상품 불매운동 재고해야" 2013.02.27 2630 [레벨:379]허진규1마력
116 복학 순서 및 내용 총정리 [4] 2014.08.26 2631 [레벨:121]이성원
115 미국 대학 입시를 위한 AP 시험이란? 2023.03.30 2631 [레벨:259]공맵
114 [1마력의 1일 1사설] - [동아일보] "남양유업 사건, 갑을관계 정상화하는 계기로" [1] 2013.05.09 2639 [레벨:379]허진규1마력
113 중국전문가 3人에게 듣는 '시진핑체제 이후의 中과 아시아' [2] 2012.12.13 2645 [레벨:352]20대회장_성유리
112 2014년 제65기 차교수의 경제학 교실 [1] file 2014.03.03 2645 [레벨:29]임영빈
111 전지현부터 김희애까지, 국내 톱스타들이 선택한 국제학교 (1편) 2023.09.01 2645 [레벨:259]공맵
110 [1마력의 1일 1사설] - [중앙일보 칼럼 - 분수대] "김탁구가 만든 빵을 먹고싶다." 2013.02.06 2648 [레벨:379]허진규1마력
109 [1마력의 1일 1사설] - "수월성 교육과 평등 교육" [1] 2013.06.11 2654 [레벨:379]허진규1마력
108 한국은 행복한가? [3] file 2013.02.16 2658 [레벨:492]이상효
107 애니팡 고득점 비결 [2] 2012.11.02 2670 [레벨:492]이상효
106 취리히 연방 공과 대학교 (ETH Zurich) 2023.08.21 2671 [레벨:259]공맵
105 [1마력의 1일 1사설] - [중앙일보] "화를 자초한 북한의 3차 핵실험" [2] 2013.02.13 2676 [레벨:379]허진규1마력
104 안녕하세요 제22 대 한국유학생회를 이끌어 나가게 된 노영광 입니다. [2] 2014.05.17 2683 [레벨:351]22대회장_노영광
103 미국 의대 입시에서 중요하게 평가하는 항목 (+美의대 파격 입시기준 추가) [1] 2023.08.23 2684 [레벨:259]공맵
102 북경 연합 마케팅 동아리 ‘ID.crew(아이디크루)’에서 3기를 추가모집 합니다~!! [3] file 2013.02.18 2687 [레벨:4]송민진
101 [1마력의 1일 1사설] - [서울경제 - 더블클릭] "한식세계화&영부인" [1] 2013.05.20 2720 [레벨:379]허진규1마력
100 잘자요 [4] file 2012.11.08 2728 [레벨:492]이상효
99 [1마력의 1일 1사설] - [조선일보] "非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노동 문제 풀지 못한다" [1] 2013.05.02 2733 [레벨:379]허진규1마력
» [1마력의 1일 1사설] - [매일경제] "한국, 밤길이 불안한 나라가 된 충격적 현실" [1] 2013.03.19 2763 [레벨:379]허진규1마력
97 이제 12시가 지나면... [7] 2012.10.26 2831 [레벨:379]김태형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