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일러스트=김회룡 기자]

     1950년 6월 25일 새벽 북한이 전격적으로 남침할 때 남·북한의 전투력은 비교조차 되지 않았다. 서울이 사흘 만에 함락당한 것은 당연한 귀결이었다. 그런데도 신성모 당시 국방장관은 “실지(失地) 회복을 위한 모든 준비가 되어 있으므로 다만 명령만 기다리고 있다”(50년 1월 기자회견)며 얼빠진 허풍을 늘어놓고 있었다. 미 군사고문단이 연례보고서에서 “49년 6월의 한국군은 독립전쟁 당시(1775년)의 미국 육군 수준에 불과하다”고 진단했는데도 말이다.

 전 세계적으로 독립·해방 바람이 불고 있었기에 선진국 좌파 지식인들도 남한에 우호적인 분위기가 아니었다. 프랑스 공산당(PCF) 기관지 ‘뤼마니테’의 50년 6월 26일자 기사 제목은 ‘한국에서 미국의 꼭두각시들에 의한 중대한 전쟁 도발. 인민공화국의 군대가 남한군의 침략에 의기양양하게 대응하다’였다. 장 폴 사르트르는 북침설을 주장하다 남침이 점차 분명해지자 “미국의 사주를 받은 남한의 함정에 빠져 돌이킬 수 없는 실수를 저질렀다”고 우기기도 했다.

 6·25가 북한이 소련·중국과 짜고 일으킨 전쟁이라는 사실은 이제 누구도 부인하지 못한다. 중국은 물론 소련군도 직접 참전(제64전투비행군단)했다. 자라나는 세대는 이런 사실을 잘 알고 있을까. 지난주 박근혜 대통령이 “한탄스럽게도 학생들의 약 70%가 6·25를 북침이라고 한다”고 지적하면서 역사교육 논란이 벌어졌다. 대통령이 지적한 설문조사 문항의 ‘북침’을 학생들이 ‘북한이 남한을 침략’했다는 뜻으로 오해했을 것이라는 반론도 제기됐다. 새누리당 이학재 의원이 서울시교육청에 의뢰해 ‘6·25 전쟁은 누가 일으켰나’라는 질문으로 다시 조사해보니 응답 학생의 86.8%가 북한이라고 했다니 아주 걱정할 일은 아닌 듯하다.

 안전행정부가 주관한 다른 조사에서는 중·고교생의 52.7%가 6·25 전쟁 발발연도를 모르고 있었다 한다. 장년층 이상에겐 한심해 보이겠지만 한편으로 6·25가 서서히 ‘역사’에 편입되고 있는 흐름에 주목해야 한다. 나만 해도 6·25 때 제주도로 피란 갔던 어머니가 공비에 끌려가다 탈출한 적이 있고, 당숙은 참전용사 연금 수혜자다. 생생한 체험담을 들으며 자란 나와 지금 젊은 세대는 또 다를 것이다. 체험과 역사는 아무래도 농도가 다르다.

    남한 인구 4799만여 명 중 갓난아기 적에라도 6·25의 포성을 들어본 세대(만 60세 이상)가 760만6903명, 휴전 이후 태어난 세대(0~59세)는 4038만3858명이다(2010년 현재). 760만 명 대 4040만 명. 차이는 갈수록 벌어질 것이다. 이미 초점은 ‘전쟁의 기억’에서 ‘기억의 전쟁’으로 이동하고 있다. 역사교육에 보다 공을 들여야 하는 이유다.

노재현 논설위원·문화전문기자
 
기사 원문 -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1892437&cloc=olink|article|default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글쓴이
공지 자유게시판 2014.09.21 54412 [레벨:409]22대웹관리자_노천명
공지 중국 생활 안전 수칙 [4] 2013.03.16 76911 [레벨:352]20대회장_성유리
156 [1마력 1일 1사설] - [중앙일보] "남대문 도깨비 시장 물려주고 싶지 않은 미제의 추억" 2013.04.15 2388 [레벨:379]허진규1마력
155 여러분께 자신감을 (선배의 조언에) 2013.10.14 2387 [레벨:0]이정우
154 북경 연합 마케팅 동아리 'ID.Crew(아이디크루)' 에서 4기를 모집합니다! file 2013.09.03 2386 [레벨:4]송민진
153 혹시 자신의 대학생활을 영상으로 남기고 싶으신분~ 2012.10.31 2385 [레벨:0]이정우
152 듀크 대학교 (Duke University) 2023.08.29 2384 [레벨:259]공맵
151 [eCareer] 이커리어 2023년 Big3 컨설팅펌 취업전략 온라인 설명회 개최 (23.09.06 / 오후 1시(KST)) 2023.08.28 2383 [레벨:51]이커리어
150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UT Austin) 2023.01.12 2380 [레벨:259]공맵
149 [1마력의 1일 1사설] - [중앙일보] "성 접대 의혹 수사, 원칙 없이 관음증만 키웠다" 2013.04.01 2380 [레벨:379]허진규1마력
148 2023-2024 예일대학교 에세이 작성법 (1탄) 2023.10.13 2379 [레벨:259]공맵
147 [공맵 2차 설명회 D-3] 미국 유학은 왜 텍사스에서 시작해야할까? 2023.08.28 2378 [레벨:259]공맵
146 2013년 10월 18일 청화인들을 위한 한중경제론 수업안내 file 2013.10.16 2378 [레벨:29]임영빈
145 전지현부터 김희애까지, 국내 톱스타들이 선택한 국제학교 (2편) 2023.09.08 2377 [레벨:259]공맵
144 [1마력의 1일 1사설] - [중앙일보] "한·중·일 30인회의 공용한자 800자 선정" 2013.07.10 2376 [레벨:379]허진규1마력
143 [공맵 2차 설명회] 미국 유학은 왜 텍사스에서 시작해야할까? 2023.08.18 2372 [레벨:259]공맵
142 캠퍼스 에티켓 캠페인 UCC공모전 2013.04.03 2372 [레벨:266]20대홍보부장_서은진
141 [1마력의 1일 1사설] - [중앙일보] "한자교육, 적극적인 해법 모색하자" 2013.07.11 2371 [레벨:379]허진규1마력
140 [흥미로운 IT뉴스] (아주경제신문) 장마에서 물놀이까지, 여름이 반가운 IT기기들 2013.07.08 2371 [레벨:33]주정헌
139 [1마력의 1일 1사설] - [매일경제] "엔低 제동걸지 않은 G7, 통화전쟁 장기화 대비를" 2013.05.13 2371 [레벨:379]허진규1마력
138 [1마력의 1일 1사설] - [매일경제 - 매경의 창] "권력은 눈을 멀게 만든다" 2013.04.12 2370 [레벨:379]허진규1마력
137 [공맵 3차 설명회] 국내 내신(GPA)으로 가는 미국 상위 주립대 입학 프로그램 2023.09.06 2369 [레벨:259]공맵
136 [공맵 2차 설명회 D-1] 미국 유학은 왜 텍사스에서 시작해야할까? 2023.08.30 2369 [레벨:259]공맵
135 GPA 3.9는 좋은 성적일까? GPA 3.9로 갈 수 있는 대학 List 2023.09.22 2368 [레벨:259]공맵
134 [무료Live] 공맵 2월 온라인 진로멘토링 '영국 에든버러대학교' 신청(~2/8) 2023.02.06 2368 [레벨:259]공맵
133 하버드대학교, Harvard University 2023.10.10 2367 [레벨:259]공맵
132 [공맵대학백과]듀크 대학교 (Duke University) 2023.01.11 2367 [레벨:259]공맵
131 2013년 차교수의 경제학교실 제 64기 석, 박사생들을 위한 중국경제론 강의안내 file 2013.09.25 2367 [레벨:29]임영빈
130 [1일 1마력의 1사설] - [서울경제] "중국 신종AI 공포 남의 일 아니다" 2013.04.08 2367 [레벨:379]허진규1마력
129 국내 내신(GPA)으로 가는 미국 상위 주립대 입학 프로그램 2023.09.19 2366 [레벨:259]공맵
128 [흥미로운 IT뉴스] (아주경제신문) SKT “中·日 방문 대한항공 고객에 로밍비 80%까지 할인” 2013.07.03 2365 [레벨:33]주정헌
127 칭화월보 12월호 선배님 인터뷰 본문입니다 file 2012.12.23 2364 [레벨:352]20대회장_성유리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